서울시 BRP지원사업 3차 신청대상, 방법 총 정리
여름철에도 에어컨이 시원하지 않고, 겨울철 난방 비용을 줄여도 집은 추운 이유—오래된 창호 때문일 수 있습니다.
수백만 원의 창호 교체 비용이 부담이었다면, 서울시 BRP 지원사업이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.
2025년 마지막 기회, BRP 3차 공고 놓치지 마세요!
사업 목적 및 배경
서울시 BRP(Building Retrofit Project)는 오래된 창호 및 단열 문제로 인해 건물 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업입니다.
- 건물 부문 온실가스가 전체의 약 68~70%를 차지
- 준공 후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신축 건물 대비 2배 이상
- 창호·단열재·LED조명·보일러 교체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 개선
- 필요 비용에 대해 무이자 장기 융자를 지원하여 시민 부담 경감
지원 대상 건물
- 기준: 사용 승인일 기준 15년 이상 경과한 주민등록상 “서울 소재 건물”(민간)
- 주택 부문: 단독주택 및 다가구주택 (공시가격 12억 원 이하)
지원 설비: 창호, 단열재, LED 조명, 보일러 등 에너지 효율화 설비 포함
신청 대상
- 건물 부문: 건물 소유자 / 세입자 / 에너지 절약 전문기업 (ESCO 사업자)
- 주택 부문: 주택 소유자
지원 제외 대상
- 최근 3년 이내 동일 건물에 대해 동일한 에너지 효율 개선으로 서울시 지원 받은 건축물
- 신청인 기준 연간 건물 최대 2채 (주택 2채까지)
- 무허가 또는 건축물대장에 위반 건축물로 표기된 경우
지원 한도
건물 부문
- 기본: 1,000만 원 ~ 20억 원
- ZEB(제로에너지건축) 인증 경우 최대 30억 원
주택 부문
- 500만 원 ~ 6,000만 원
융자 조건
- 금리: 연 0% (완전 무이자)
- 상환 기간: 최대 8년 이내 균등분할 상환
- 조기상환 수수료 없음
신청 절차
- 서울시 BRP 지원 시스템 방문 (brp.eseoul.go.kr)
- 회원가입 → 로그인
- 공고 확인 후 온라인 신청서 작성
- 서류 업로드 및 신청 완료
신청 시 제출 서류
- 서울특별시 기후대응기금 융자신청서
- 공사 견적서 및 시공내역서
- 시공 도면
- 공사 전 사진
- 개인정보 수집·이용 동의서
- 대출심사 사전 확인서
- 사업 융자지원 서약서
- 건축물대장
- 에너지 절감량 산출자료 및 근거
주의 사항
서류 항목이 많아 준비가 어려우실 경우, 서울시 홈페이지 BRP 안내 메뉴나 고객센터에 사전 상담 요청 후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체크리스트
- 사용 승인 기준 경과 15년 이상 여부 확인
- 주택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여부 확인
- 최근 3년 내 동일 지원 받은 내역 여부 확인
- 필요 서류 모두 준비
- 서울시 BRP 사이트 방문, 신청서 작성 및 예약
※ 본 안내는 2025년 BRP 3차공고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상세한 신청 요건, 일정, 접수 기간 등은 반드시 서울시 BRP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해 주세요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